1. 선악 유형 사례
A는 여가시간에 유투브나 드라마 영화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최근들어 공포, 살인을 담은 추리영화를 즐겨보려고 한다. A는 간헐적으로 우울감을 경험하고 죽음에 대해서도 가끔 생각을 한다. 이런 경향에 문제의식을 느낀 A의 엄마가 공포나 죽음관련 영상물들이 왜 안좋은지, 정서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하며 좋은 영상물로 대체할 것을 권하는 상황이다.

2. 조직 문제 유형
B는 낙천적인 성격의 중학생이다. 방학을 맞아 마음껏 시도때도 없이 많이 자고 야식을 먹으며 밤낮이 바뀌고 해야할 숙제도 잘 못하고 있다. 아빠가 몇번 경고를 해도 교정이 되지 않았고 급기야 아빠가 매를 대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B는 아빠의 경고가 이해가 안갔고 '그럴수있는거 아닌가 아빠는 어릴때 안그랬나' 등으로 반항의 마음을 품었다. 가정의 분위기는 삭막해지고 중간에 엄마가 B와의 대화를 통해 지나친 수면과 야식이 몸과 마음의 건강에 얼마나 좋지 않은지를 설명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권면했고 아빠에게 반항의 마음이 아닌 공손한 마음으로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할 것을 제안했을때 다시 가정의 평화가 찾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