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수용적 미술치료에 기초한 명화 감상 미술치료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인문 > 심리학 > 심리치료 > 미술치료

마음속 깊은 곳을 비춰주는 예술

예술를 감상하며 마음의 치유를 경험한다

“예술교육은 중요하다. 예술을 통해 아름다운 말을 닮고 사랑하고 또 공감하도록 이끌어주기 때문이다.

예술은 인간의 내면에 깊이 침투하여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플라톤, 그리스 철학자


“예술은 순수한 직관으로 파악된 영원한 이념, 즉 세계에 있는 모든 형상의 본질적인 것과 영속적인 것을 재현한다. 예술의 유일한 기원은 이념의 인식이고, 예술의 유일한 목적은 이런 인식의 전달이다.”

- 쇼펜하우어, 독일 철학자


“예술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수단. 예술은 쾌락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을 연결함으로써 같은 감정으로 함께 결속하게 하고, 온 인류의 행복으로 이끄는데 없어서는 안 될 수단이다.

예술은 인간의 감정을 바꾸고 완전을 향해 정진하는 인류 운동의 수단이다.”

- 톨스토이. 러시아 소설가


“나는 노예처럼 자연을 베까지 못하며 자연을 해석하고 자연을 그림의 정신에 적용하고 싶은 감정에 빠진다. 화가의 사명은 책처럼 역사를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다. 그림은 더 고양된 견해를 갖는다. 예술가는 자신의 내적 비전을 표현하는 사명을 갖는다.”

- 마티스. 프랑스 화가

저자소개

저자 : 정여주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t zu K?ln) 교육학 석·박사

미술치료전문가, 아동심리치료 전문가, 아동상담지도감독 전문가

전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원광대학교 초빙교수 등

현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원장

정여주 미술치료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및 역서〉

미술교육과 문화(4판, 공저, 학지사, 2020)

노인미술치료: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18)

어린왕자 미술치료(학지사, 2015)

만다라와 미술치료(2판, 학지사, 2014)

미술치료의 이해: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14)

만다라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학지사, 2013)

만다라 그리기 시리즈(학지사, 2010)

미술기반 미술치료 슈퍼비전(공역, 학지사, 2020)

정신분석적 미술치료(공역, 학지사, 2011) 외 다수 닫기

목차

머리말


I. 이론편


CHAPTER 1 명화 감상

1. 보는 것과 감상

2. 왜 예술인가

3. 예술가, 명화, 감상자의 관계


CHAPTER 2 명화 감상의 치유력, 치료적 특성

1. 명화 감상을 통한 치유

2. 명화 감상의 치료 요인과 특성


CHAPTER 3 수용적 미술치료

1. 수용적 미술치료 개념과 목적

2. 수용적 미술치료 유형

3. 수용적 미술치료 접근 방법

4. 수용적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 역할


II. 실제편

1. 어머니와 아이

2. 아이와 놀이

3. 자화상

4. 초상화

5. 정체성

6. 고향

7. 나의 공간

8. 행복한 기억

9. 꿈

10. 우표

11. 편지

12. 기다림

13. 휴식

14. 신발

15. 의자

16. 천사, 수호천사

17. 가족

18. 사랑

19. 행복

20. 병, 간호

21. 사별, 애도 1

22. 사별, 애도 2

23. 희망 1

24. 희망 2

25. 회상

26. 춤 1

27. 춤 2

28. 일출, 일몰

29. 호수

30. 정물

31. 상상여행

32. 사각의 변주

33. 소망, 나의 길

34. 꽃 1

35. 꽃 2

36. 나무

37. 정원

38. 계절

39. 자유

40. 동심원

41. 오마주

42. 동물

43. 개와 고양이

44. 평화

45. 색채 여행

46. 색채의 즐거움

47. 회복, 재탄생

48. 명상 1

49. 명상 2

50. 축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100편의 명화, 지치고 무뎌진 감성을 일으킨다

프로이트가 1914년에 익명으로 자신은 예술의 문외한이지만, 로마 산 피에트로인 빈 콜리 성당(Basilica di San Pietro in Vincoli)에서 만난 미켈란젤로(Michelangelo)의 조각 〈모세상〉에 강하게 매료되어 2번이나 찾아갔으며. 그곳에서 오랫동안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려 노력했으면 자신만의 해석을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우연히 들린 전람회 그림 앞에서 하릴없이 빠지거나, 벽면을 가득 채운 명작의 웅장함에 다리의 힘이 풀리거나, 화가 자화상의 강렬한 눈빛에 놀라 가방을 떨어뜨릴 뻔한 경험이 있다면 이 책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잘 이해할 것이다.

명화(名畵)는 조용히 ‘빛;’을 내며 말을 걸어온다. 언어가 아닌, 무의식의 소통을 경험하게 한다. 즉 작품을 감상하지만 자신의 내면세계를 무의식적으로 투사하고 감정이입과 동질감, 동일시를 경험함으로써 시각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한다.

명화는 미술치료에서도 내담자와 미술치료사 사이의 관계 소통의 매개가 되어 치료과정을 돕는다. 예술가가 그림을 완성하며 작품과 씨름하듯 내담자도 명화를 감상하며 감정, 기억, 경험을 표현한다. 특히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내담자들이 은유적, 상징적 시각언어로 표현할 때 내담자의 내적 외적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미술치료사와 더 깊은 소통을 하게 한다.

이 책은 예술 감상도 미술치료 모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미술치료사들이 임상 현장에서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언어 메세지 보다 동영상, 이모티콘, 짤 등 ‘보는’ 것이 더 빠르고 쉽게 수용되는 시대에 이 책은 수많은 상담가 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감상을 통해 마음의 치유를 얻도록 안내할 것이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1-23 (화) 16:26 3년전
이 책은 미술감상을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무의적으로 투사하고 감정이입, 동질감, 동일시를 경험하는 시각적 의사소통을 소개한다. 또한 미술치료를 통해 내담자와 미술치료사 사이의 관계 소통의 매개로 사용한다.

성경적상담의 미술세션은 심리학의 무의식과 상담사와의 소통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미술세션 교제에서도 나오듯, 미술치료를 통해 피상담자의 숨겨진 마음을 알아맞추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는 마음을 풀어 놓고 그것을 더욱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결국 마음의 깊은 곳까지 도달하는 것이 미술세션이다. 무의식적인 마음이 아닌, 인간 본연의 마음자체, 욕구와 죄를 알아내고 은혜로 나아가는 것이 미술세션이다. 그리고 상담사의 의사소통 매개에 집중하기 보다 성경적 상담은 피상담자와의 성육신적 관계를 모델로 한다. 

그래도 이 책에서 미술감상의 부분을 성경적상담에서 적용할 수 있다면, 그림 감상을 6가지 해석법으로 세션을 진행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32 심리학
Help and change follow a path but not a script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0 1092
231 심리학
작은 결정도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을 위한 분별력 (Small Decisions Matte…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6 1 1110
230 심리학
God Does Not Despise the Small Things (하나님은 작은 것을 …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2 0 1193
229 심리학
나는 환각과 망상이 두렵습니다. 어떻게 위로와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까? (I’m terr…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1062
228 심리학
자녀가 마음을 아프게 할 때 부모로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What do we d…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1093
227 심리학
How to Care Well for Your New Counselee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5 0 1204
226 심리학
백석상담센터-“삶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따뜻한 사람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3 1 945
225 심리학
상담연구방법론 (학지사, 2019)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606
224 심리학
상담연구방법론(학지사, 202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561
223 심리학
비폭력 대화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30 0 618
222 심리학
행위치료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5 0 561
221 심리학
철학상담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5 0 575
220 심리학
분석적 음악치료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3 1 1401
219 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 열등감과 우월성추구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3 0 695
218 심리학
놀이치료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2 0 613
217 심리학
밀턴에릭슨의 최면치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9 0 572
216 심리학
원예치료사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8 0 585
215 심리학
리플리 증후군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7 1 1245
214 심리학
정신 역동 이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6 0 644
213 심리학
합리정서행동치료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4 0 566
212 심리학
의미치료(logotherapy) - 상담목표 / 상담이론 및 기법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2 0 583
211 심리학
긍정적심리학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2 0 543
210 심리학
매슬로우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2 0 593
209 심리학
패션 테라피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1 1 615
208 심리학
마음챙김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1 0 543
207 심리학
반두라 사회학습 이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1 0 585
206 심리학
음악치료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1 0 593
205 심리학
이야기치료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0 1 1327
204 심리학
색채심리학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9 0 649
203 심리학
싸이코드라마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7 0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