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자료 논문연구 설문조사

[104방법론] 상담방법론 Method, 강의필기

  methods.hwp 30.3K 0 11년전
<상담 방법론-사례연구분석>

1. 2가지 진입문(entry gate)은 무엇인가? (어떻게 이것들을 다루겠는가? 어떠한 성경구절들을 사용하겠는가?

1) 진입문- 피상담자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나타나는 현상들은 그 세계의 겉일 뿐이다. 그 현상들 속에서 피상담자의 마음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래서 현상들에 대한 반응동기를 파악하고 그 마음을 얽어매고 있고 억누르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혀주어야 한다.
2) 다루는 방법- 여러 가지 질문들. 무엇을 하셨습니까?/얼마나 자주, 어디서, 그리고 언제 그러한 일을 하셨습니까?/ 그 일을 어떻게 하셨습니까?/ 왜 그렇게 반응하셨습니까?
-폭넓은 내용의 대답을 얻을 수 있는 개방형 질문과 구체적이고 세밀한 대답을 얻을 수 있는 폐쇄된 질문.
3) 사용 성경구절-성경적인 인도함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구절> 골로새서 3:16,
        피상담자의 자발적인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절> 골로새서 3:13,
        마음의 문제를 드러내기 위한 구절>누가복음 6:43 이하,
        마음의 우상을 깨닫기 위한 구절> 에스겔 14:1-5,
        하나님의 말씀앞에 자신을 드러내도록 요구하기 위한 구절> 약 1:22-25.......


2. 피상담자의 삶의 고통은 무엇인가? (당신의 동정심을 어떻게 표현하겠으며, 또한 어떻게 하나님의 위로하심을 전달하겠는가?)

1) 삶의 고통에 관한 이야기를 듣는 것은 그의 상황과 마음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2) 그리고 피상담자의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바라보게 함이다.
3) 동정심을 표현하는 것은 상황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마음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야 한다.
4) 하나님의 위로하심은 그를 성경적인 사고에 대입했을 때 전하여 줄 수 있다. 성경적인 인물에 동일시하고, 그 인물에 주셨던 하나님의 위로를 전달한다. (원수에게 쫓겨다녔던 다윗, 대적에게 늘 모욕적인 언행을 받았던 한나, 자기 자신에게 있는 가시로 인해 고통스러워했던 바울....)

3. 당신에게 중요한 자료의 5가지 영역을 기술하고, 그 각각의 영역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설명하라.

1) 5가지 영역: 주안점으로 보아야 하는 것. 관심을 가지고 찾고자 하는 부분.
2) 상담을 하는 것은 정보의 사실을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실을 해석한 것을 가지고 상담한다. 그리고 모든 해석은 성경적이어야 한다.
3) 정보를 분류하고 조직화하라. 분류할 때 스스로에게 묻는 네 가지 질문들이 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내담자의 환경을 정리한다.
-내담자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
-내담자는 그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마음의 생각을 드러나게 한다.
-내담자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소망, 우상, 욕망이 무엇인가?

4. 자료를 더 수집하기 위해 당신이 사용할 7가지 질문을 기술하라.

1) 피상담자가 직면한 문제가 무엇인가?
2) 그와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3) 그가 받는 압박은 무엇인가?
4) 그가 받는 유혹은 무엇인가?
5) 그의 고통과 어려운 점은 어디에 있는가?
6) 그가 매일 져야 하는 의무와 책임은 어떤 것인가?
7) 하나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8) 자기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9) 자기 자신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10) 해결책에 대한 전망은 어떠한가? 소망적인가, 아니면 절망적인가?
11) 인생 자체에 대한 관점은 무엇인가?

5. 다음의 4가지 범주에 따라 이 사례의 자료들을 배열하라. (상황, 반응, 사고, 동기)

1) 상황(situation), 반응(response-strategy)---겉사람, 열매, 드러난 모습에 해당하는 것들
2) 사고(thoughts-structure), 동기(motives-spirit)---속사람, 뿌리, 드러나지 않은 그 마음속에서 일어난 것들

6. 이 사람에게 있어 중요한 마음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을 기술하라(사고/동기)

1) 피상담자가 최종적으로 정말 갖기를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2) 그의 개인적인 마음의 우상은 무엇인가?
3) 여러 가지 많은 욕망들 속에서 우세하며 근본적인 것은 무엇인가?
4) 현상의 문제를 이와 같은 질문들을 통해서 마음의 문제로 변환하여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7. 어떻게 이 사람을 회개하도록 이끌 수 있는지 토의하라. (어떠한 부분을 고려하겠는가?/ 어떻게 하나님과 사람에게 구체적인 고백을 하도록 하겠는가?/ 새로운 결단은 무엇인가?/ 결단이 어떻게 일상생활에 적용되도록 하겠는가?)

1) Confrontation-피상담자로 하여금 직접 스스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하게 한다.
2) Consideration-자신의 마음의 목표가 무엇이었는지를 인정하게 하는 것.(마음속의 목표를 드러내게 만드는 질문들을 사용한다.)
3) Confession-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게 하고, 그의 행동 뿐만 아니라 마음의 죄도 고백하도록 돕는 것.
4) Commitment-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겠다는 다짐. 상담자가 피상담자와 함께 계획을 세우고 점검한다.
5) Change- 피상담자로 하여금 어느 부분에 변화가 필요한지 알게 하고 구체적이고도 성경적인 삶의 변화를 갖도록 돕는다.
 
8. 이 사람은 어떠한 부분에서 하나님께 책임을 돌리고 있는가? 어떤 부분에서 자신의 책임을 찾지 못하고 있는가?

1) 피상담자가 변화를 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책임감의 문제를 확실히 주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름대로의 변명거리로 변화를 거부하도록 길을 열어주어서는 안된다.
2) 이 상황에서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은 무엇인가? 오직 나에게 원하시는 일은 무엇인가? 그가 하나님을 의뢰하고 하나님의 통제에 맡겨야 할 일은 어떤 것인가? / 이러한 질문들을 통해 스스로 답하게 하고 스스로 책임을 통감하도록 한다.

9. 어떻게 이 사람이 그리스도 안에서 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할 것인가?

1) 성경말씀을 통해서 자기 정체감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롬 6:1-14, 벧후 1:3-9, 빌 2:1,2)
2) Encouragement, 격려- 변화를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때 상담자는 끊임없이 격려해 주어야 한다.
3) Warning, 경고- 옛 습관으로 돌아가고자 할 때 그 유혹의 결과를 상기시키고 심적인 저항을 이겨내도록 경고를 준다.
4) 성경말씀을 사용: 벧후 1:3-9, 시편 37편, 기타 등등.

10. 이 사람과의 상담이 끝났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1) 다음의 질문들을 통해서 상담자가 판단한다.
- 그의 마음의 변화를 나타내는 증거가 있는가?
- 그의 행동상 구체적인 변화의 증거가 나타난 곳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 그가 스스로 자신의 삶에 성경적인 원리들을 계속 적용해 나갈 수 있는가?
- 그가 변화된 삶을 사는 것에 방해가 되는 어떤 저항이나 어려움이 있는가?
- 그에게 충만한 믿음과 혼자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나 소원이 있는가?
2) 이러한 질문에 긍정적이라면 상담은 종결되고 성공적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만약 부정적이라면, 나타나는 심리적 저항과 의지의 연약함에 대해서 좀더 부가적인 상담을 해주어야 한다.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93 203상담전도법
2025-1, 상담전도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998
292 202교회사역법
2025-1, 교회사역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1028
291 201챠트작성법
2025-1, 챠트상담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977
290 204기관운영법
2025-1, 기관운영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7 0 1013
289 _전문상담연구
2023-2학기 전문상담연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10 0 1018
288 201챠트작성법
신경전달물질의 원리그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0 0 1252
287 .[공지]
성경적 상담 챠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6 0 1522
286 105가정상담
가정상담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0 1546
285 자료
2024-2학기, 현장강의,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7 0 1549
284 208심층상담
뉴프람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17 0 2476
283 자료
2024-2학기, 고통상담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6 0 1553
282 자료
2024-2학기 성경적 상담세미나: 프로그램 연구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6 0 1593
281 104방법론
방법론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7 1 1621
280 103역동성
역동성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24 0 1572
279 101개론
개론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1 0 1695
278 102기본원리
원리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1 0 1675
277 208심층상담
[기초신경과학]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개요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08 1 1736
276 208심층상담
뇌의 3층구조(신피질, 구피질, 뇌간)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10 0 2794
275 208심층상담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차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6 0 1830
274 208심층상담
파마프로시클리딘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5 0 1850
273 103역동성
역동성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0 1753
272 102기본원리
기본원리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0 1754
271 101개론
개론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1 1837
270 108고통
인간의 기관계 종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26 1 1938
269 자료
전체 상담챠트 그룹:A,B,C,D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06 0 1858
268 자료
상담챠트: 신피질, 고피질, 구피질의 뇌구조와 마음의 문제 이해 챠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0-22 0 2029
267 자료
2023-2학기, 총신대 상담대학원, 전문상담 진로연구, 판서내용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20 0 1960
266 105가정상담
2023-1학기, 총신대 교육대학원, 결혼과 가족상담, 강의판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9 1 1834
265 208심층상담
클로자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8-25 1 3608
264 105가정상담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유쾌한 부부 심리학 중에서)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7 4 3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