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3: 갈라디아서 5,6장 말씀 분류 및 묵상
상황:
1)진리를 순종치 않게 만드는 거짓말 하는 자들(5:7)
우리가 처해진 상황을 가지고 우리를 막아서서 진리를 순종하지 못하게 한다.
2)우리를 부르신 이에게서 나오지 않은 조언(5:8)
하나님에게서 나오지 않은 조언이 언제든 주어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3)다른 마음으로 인해 요동하게 되고 어지럽게 됨(5:10,12)
거짓된 가르침으로 우리에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고 변질된 것으로 이끈다.
4)육체를 따르는 자들이 성도가 육체를 의지하도록 만듦(6:12,13)
그들 자신은 율법을 지키지 않으면서 다른 성도가 육체를 의지하게 만들어서 자신들의 편으로 만들려고 하며 그래서 그것을 자랑하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
결과
1)육체의 썩어진 것을 거둠(6:8)
성령이 기뻐하시는 것을 따라 사는 삶과, 죄된 본성을 따르는 삶의 열매는 다를 수 밖에 없고 분명 그 심은 대로 거두게 될 것이다.
2)피차 멸망함(5:15)
서로 다투고 삼키면 결국 파괴밖에 남지 않는다.
반응
1)스스로 속임(6:7)
우리 누구도 하나님을 속일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사람은 심은대로 거둘 수 밖에 없다.
2)서로 물고 먹음(5:15)
서로 물고 뜯을때 서로가 파멸한다.
3)육체의 일을 행함(5:19-21)
육체의 일을 행함으로 악순환이 계속 되어진다.
4)서로 격동하고 투기함(5:26)
서로 질투하고 화나게 함으로 헛된 영광을 구하는 어리석음이 이어진다.
욕구
1)스스로의 행위로 의롭다 함을 얻으려는 노력(5:4)
종교활동을 함으로 스스로의 의를 추구하려함으로 그리스도에게서 끊어지게 된다.
2)육체의 욕심(5:16,17)
우리를 자유케 하는 성령의 영은 우리의 이기심과 함께 갈 수 없다.
3)본질과 정체성의 상실(5:24)
예수께 속한 사람은 우리들의 마음대로 사는 삶이나 세상이 추구하게끔 부추기는 것을 십자가게 못박은 사람들이다.
은혜
1)십자기에 못박히신 그리스도(5:24)
육체와 모든 정과 욕심까지도 십자가에 못박아야 한다.
2)우리의 자랑이 되신 그리스도(6:14)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우리 죄에 대한 비용지불이며 우리를 온전히 자유케하심과 영광 그 자체이다.
3)예수님의 흔적(6:17)
우리에게도 현재의 고난과 슬픔들이 미래에는 영광의 상처가 될 것임을 고백할 수 있다.
결심
1)성령의 소욕(5:17-18)
성령을 따라 살면 육체의 욕심은 자연스럽게 멀어지게 될 것이다.
2)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5:6)
규제중심이 아닌 주님을 사랑하기에 자연스럽게 행해지는 사랑과 헌신을 통해 믿음이 나타난다.
실천
1)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않음(6:9,10)
포기하거나 멈추지 않으면 때가 되어 열매를 거둘 것이다.
2)성령의 열매를 맺음(5:22)
3)온유함으로 바로잡고 짐을 서로 지는 것(6:1,2)
서로의 짐을 나누어짐으로써 그리스도의 법을 완성한다.
4)오직 사랑으로 행함(5:13)
사랑안에서 서로 섬기기
변화
1)성령으로부터의 영생(6:8)
성숙과 변화의 최종적 결실은 성령으로부터 받는 영생이다.
우리에게 십자가를 내어주신 예수님의 사랑은 우리를 해방시켜 자유로운 삶을 살게 해주시기 위함인데, 가시덤불과 엉겅퀴같은 세상을 살다본면, 그 상황에 갇혀서 구속된 자처럼 살아가는 순간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면서 표면적으로는 괜찮은 종교인인척 살아가며 내면에서는 성령을 근심시키며 소멸시키는 일들이 얼마나 많았는지를 되돌아본다.
세상의 소리에 마음을 잠깐 내어주는 순간, 당장이라도 달려드는 사단에 올무에 메여 그 소용돌이 속에 세상의 소리를 따라가 죄 가득한 이기심으로 향하게 되는 연약함을 고백한다.
변덕스러운 육의 삶에서 빠져나올 길은 성령이 이끄시는 대로의 삶을 선택하는 것이 유일한 길임을 다시금 갈라디아서 말씀을 통해 깨닫게 하심에 감사하며 이 말씀이 내면에 확고하게 뿌리내려 견고하여 지기를 간구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율법의 금지를 인위를 억누르려 하지 말고 성령을 따르며 생기는 열매들에 집중하는 삶을 살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