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고통] 과제4: 고통과목 소감쓰기
정신 영적 사고 장기 운동 감각 몸의 문제를 이렇게 분류해 놓으신 것은 앞선 강의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항상 문제는 여러 문제가 얽혀있기 때문에 몸의 문제 또한 그것을 분류하며 하나씩 쪼개나갈 때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유인 것 같다.
영적인 문제(귀신들림,자살충동)도 결국 몸에서 일어나는 문제이지만 그것의 원인을 더 정확히 이해하고 세부적으로 따질 때 나머지 5개(신경계의 문제)와는 조금 더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마음에서 나오는 생각(thought)과 stress가 해당 몸의 문제들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주는지 그 과정에 대한 조금 더 구체적인 설명(해부생리학적)이 있다면 좋을 것 같다.
만약 원인이해의 과정에서 피상담자 몸의 구조적(structural) 측면이 피상담자 몸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이고 선행적인 원인이라고 판단되면 부정적인 생각과 스트레스는 stimulus가 될 순 있어도 그것이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기 때문에 몸의 증상이 상담과정에서 좋아질 수는 있어도 차후에 다른 이유들(trauma, toxin)을 만났을 때 해당 문제가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포인트 100점 (채택 0 + 추가 100) 을 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