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인 중독, #금단현상으로 두통호소, #진통제 효과 없음
Ⅰ.상담과정
1.문제인식: 고민자는 주말마다 두통으로 고통받고 있는데 두통의 원인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두통증세 자체를 줄이려는 데만 초점을 두다 보니 해결은 되지 않고 갈수록 두통은 심해져서 괴로운 상태이다.
2.원인이해: 두통의 원인에 카페인섭취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앎에도 두통증세가 계속될까봐 두려운 이유는 평일날 커피가 주는 자극을 유지하면서 주말동안 생긴 두통만 해결되기를 바라는 쾌락의 욕구 때문이다.
3.방법적용: 근본적인 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두통의 원인에 대해 생각해보는 가운데 평일동안 커피자극이 주는 즐거움을 내려놓고 주말동안 커피를 마시지 않고 참고 있는 힘이 있는 것처럼 이미 있는 능력을 생각하며 좀 더 평안한 마음으로 주말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꾸준히 커피를 마시지 않기로 결심한다.
4.변화형성: 새로운 마음을 갖기로 결심을 하고나니 규칙적인 하루일과 조정과 충분한 수면을 통해 평일날 습관적으로 마시던 커피를 절제할 수 있게 되고 느슨하게 보냈던 주말시간을 좀 더 알차게 보낼 수 있는 교육들로 채워나감으로 커피를 끊고 두통문제도 해결해 나간다.
Ⅱ. 단계주제
1. 영역: 개인,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두통이 너무 심해 괴롭다.
2. 유형: 심층, 지나친 커피 섭취로 인해 진통제도 듣지 않는 심한 두통을 겪게 되었다.
3. 감정: 두렴, 두통이 계속 될까봐 두렵다.
4. 욕구: 쾌락, 습관적인 행위를 유지함으로 즐거움을 계속 얻기를 바란다.
5. 소원: 능력, 적어도 주말동안은 커피를 마시지 않고 참는 힘이 있는 것처럼 하나님이 이미 주신 능력을 생각한다.
6. 결심: 화평, 내게 있는 능력을 생각하고 그것을 활용하려고 마음먹으니 일시적인 두통증세에 요동하지 않으며 커피를 꾸준히 마시지 않기로 결심할 수 있는 마음이 생긴다.
7. 실천: 절제, 하루일과 조정과 충분한 수면을 통해 습관적으로 마시던 커피를 절제할 수 있게 된다.
8. 변화: 교육, 지속적인 방법적용이 습관적인 카페인 섭취 행위를 없애고 두통도 이겨나갈 수 있음을 깨닫고 계속해서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배워나간다.
Ⅲ.사례해석
1. 악순환: 고민자는 주말마다 반복되는 두통으로 괴로운데/두통의 원인에는 관심이 없고 두통증세 완화에만 초점을 두고 /평일 마시는 커피의 즐거움은 유지하고 싶은 쾌락의 욕구가 있다 보니/이제는 진통제도 듣지 않는 심한 두통으로 고통받는 상황에 놓여있다.
2. 선순환: 내게 이미 있는 능력을 생각하고 그것을 활용하려고 마음먹으니 일시적인 두통증세에 요동하지 않게 되고 하루일과 조정과 충분한 수면을 통해 습관적으로 마시던 커피를 절제할 수 있게 되며 주말에도 배워야 할 것들을 배워나감으로 두통문제도 해결되고 자신도 발전해 나간다.
3. 진입구: 두통으로 힘들지만 주말동안이라도 커피를 마시지 않으려는 마음이 있다는 것에 소망에 있음을 말해준다.
4. 상담방향: 두통으로 고통스러우면서도 두통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진통제를 이용해 두통증세 자체만 없애려 하는 것은 커피가 주는 각성효과를 놓고 싶지 않고 이러한 행동을 계속함으로 즐거운 자극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쾌락의 욕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한다.
5. 상담계획: 쾌락의 욕구를 내려놓고 내게 이미 있는 능력을 생각하니 평온한 마음으로 습관적으로 마시던 커피를 절제할 수 있는 결심이 생기고 평일을 넘어 주말까지도 계속해서 마시지 않을 수 있도록 방법을 적용해 나갈 수 있게 된다.
6. 상담목표: 커피를 꾸준히 안먹도록 하기 위해 매일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려고 노력하고 느슨하게 보냈던 주말을 재정비하여 자신의 발전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어 나가는 가운데 커피중독문제와 두통현상도 이겨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