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한 친구 성추행 트라우마로 공격적으로 변함 #성추행 기억이 나면 기분 안 좋아짐 #욕설과 물건 부숨 #자살충동 #가해자인 친구 죽이고 싶음
I. 상담과정
1. 문제인식: 성추행 트라우마가 원인이라고 생각하며 화나는 대로 욕하고 물건을 부수며 자신이 느낀 감정을 분노와 폭력으로 해소하려고 한다.
2. 원인이해: 성추행 당한 후 불쾌함이 있으며, 편안함을 추구하려고 하나 성추행이 기억날수록 불쾌함을 자극하고 그런 마음을 해소하려고 후련함을 추구하다 보니 감정이 더욱 악화된다.
3, 방법적용: 성추행 당한 후 힘들고 어려웠으나 지금까지 지내온 것처럼 현재의 고통과 어려움도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여 분노와 폭력으로 해소하던 것을 참을 수 있다.
4. 변화형성: 유순하고 차분한 태도로 타인의 실수와 잘못을 유연하게 대처하며 성숙한 관계를 만들어 간다.
II. 단계주제
1. 영역: 개인. 성추행의 기억이 날 때마다 기분이 안 좋아지고 욕하고 물건을 부수며 점점 더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자신의 모습에 괴로워한다.
2. 유형: 심층. 성추행의 기억이 점점 더 심해져서 분노하다 보니 욕하고 물건을 부수는 행동을 하며 그것이 더 커져서 자살과 살인의 충동이 있다.
3. 감정: 분노. 성추행의 기억으로 불쾌한 감정을 해소하려고 하나 그렇게 되지 않아서 화가 난다.
4. 욕구: 편안. 성추행을 당하고나서 편안함을 추구하려다 보니 감정이 더욱 악화된다.
5. 소원: 능력. 성추행 당한 후 힘들고 어려웠으나 지금까지 지내온 것처럼 현재의 고통과 어려움도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여 극복할 수 있다.
6. 결심: 인내. 분노와 폭력으로 해소하던 것을 참을 수 있다.
7. 실천: 온유. 성추행의 기억이 나도 유순하고 차분한 태도로 대응한다.
8. 변화: 성숙. 타인의 실수와 잘못을 유연하게 대처하며 성숙하게 반응하는 변화된 삶을 산다.
III. 사례해석
1. 악순환: 성추행의 기억이 날때마다 느껴지는 불쾌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분노와 폭력으로 해소하려고 하니까 감정이 더 커지면서 자살과 살인의 충동이 있다.
2. 선순환: 예수님의 능력을 생각하여 인내하는 적극적인 마음을 가지다 보니까 성추행의 기억이 나더라도 온유하게 대처하며 그렇게 성숙한 반응을 하다 보니까 새로운 삶의 변화를 이루어 간다.
3. 진입구: 성추행 당한 기억으로 분노 가운데 있지만 정상적으로 살고 싶어서 도움을 청하는 것은 현재의 트라우마를 해결하려는 의지와 소원이 있는 것이며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해준다.
4. 상담방향: 어머니에게 욕하고 물건을 부수며 분노한 이유는 성추행의 기억이 나면서 고민자가 불쾌함을 느끼고 그런 마음을 해소하기 위한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도록 돕는다.
5. 상담계획: 불쾌함을 해소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능력의 은혜를 의지하여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질 때 상황을 인내하며 온유함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
6. 상담목표: 화가 나서 미칠 것 같은 분노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깨닫고 욕하고 물건 부수는 행동을 온유함으로 실천해 갈 때 새로운 삶으로의 변화가 가
능하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