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심층유형] [논문]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http://www.riss.kr/link?id=T16736861

  • 8

    상세조회
  • 7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참사로 인해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세월호참사 피해자를 심리지원하는 기관에 근무하면서 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애도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가족들의 애도과정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탐색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목적은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및 애도과정의 의미를 규명하여 향후 외상적 상실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애도 상담자 및 신앙 공동체가 해야할 역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세월호 유가족들이 참사직후부터 경험해온 애도 경험의 근본적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월호참사로 자녀를 잃은 유가족 부모 중 참사 전부터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던 11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개별면담은 참사 7주기 이후인 2021년 5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총 177개의 의미단위와 47개의 소주제, 12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들은 애도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도움요인과 방해요인이라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고, 애도과정의 변화경험은 8가지 대주제, 애도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도의 감정과 의미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도움요인으로는 소중한 가족, 세월호를 기억하기, 유가족 활동, 함께해준 사람들, 신앙의 힘, 그냥 살아감이라는 6가지 소주제이고,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방해요인으로는 낙인과 직접적인 비난, 이해받지 못함, 신앙공동체에 대한 실망, 몸에 밴 신앙 습관이라는 5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경험은 8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는데, 애도과정을 겪으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 및 신앙, 정체성, 그리고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유가족의 애도과정 중 애도의 감정과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주요한 애도감정은 미안함과 슬픔, 그리움, 우울감, 자책감, 절망감으로 나타났고, 매년마다 동일한 감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또한 애도과정에 대한 의미부여는 이전 삶과의 단절, 새로운 삶을 찾아감, 상실에 몰두, 삶과 죽음의 공존이라는 4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 및 애도과정을 지원하는 상담자의 역할과 신앙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첫째,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은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기,’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기,’ ‘사회적 지지를 지속하기’이다.
둘째, 연구자는 상담자의 역할을 ‘동반자적 전문가로서 함께하기’라고 규정하고, ‘함께함’에 있어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4가지 자세(긍휼, 존중, 인내, 겸손)와 애도과정에서 보이는 유가족의 다양한 반응들을 이해하고 전문적인 도움을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상담 기술을 동시에 숙지하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신앙 공동체의 역할로 고통 받는 자와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긍휼’을 회복하고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더불어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선행연구 결과 세월호참사 직후에는 관련된 논문이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했을 뿐 아니라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애도과정의 현상을 밝힌 국내논문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세월호참사 7년 이후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연구함으로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재조명하고 향후 변화과정에 대한 지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애도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재난 피해자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신앙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재난 상황에서 신앙 공동체가 해야 할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그동안의 과정을 성찰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무엇보다 기존 세월호참사 연구에 드러나지 않았던 유가족들의 인터뷰를 포함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 놓여있는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참사 7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유가족의 애도과정이 여전히 살아있는 듯 하면서도 죽은 듯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유가족들의 삶이나 신앙, 가치관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과 같은 변화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유가족 부모 외에도 형제자매와 생존자 및 생존자 가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난이 피해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다양한 사회적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due to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ho were still struggling in the mourning process seven years later while working at an institution that psychologically supports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o I started the study because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mourning proces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changes in the mourning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to find way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people experiencing traumatic loss, and to suggest the role of mourning counselors and faith commun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in order to examin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mourning experience that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of the experienced since the disaste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ents of bereaved families who had lost their children in the Sewol ferry disaster, who had a Christian faith even before the disaster,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after the 7th cycle of the disa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77 semantic units, 47 sub-themes, and 12 major themes were derived.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help and obstruction,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was eight major themes, an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x sub-them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urning process are the precious family, remembering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y activities, people who have been with them, the power of faith, and just living. The five sub-themes that have a negative effect are stigma, direct criticism, incomprehension, disappointment in the community of faith, and habit of faith.
Second,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appeared in eight major them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cognitive, behavioral changes, faith, identity, and life changes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Thir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examined. The main mourning feelings were sorry, sadness, longing, depression, guilty conscience, and despair, and the same feelings were repeated every year.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was divided into four sub-themes: disconnection from the previous life, finding a new life, immersion in loss, and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s a plan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the role of counselors and the role of the faith community in supporting the mourning process.
First, the three measure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are ‘continuing support for victims,’ ‘changing social awareness of victims,’ and ‘continuing soci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er defined the role of the counselor as ‘together as a companion expert’ and suggested four attitudes (compassion, respect, patience, and humility) that the counselor should have in the ‘togetherness’ and emphasized that the counselor should be familia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unseling skills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 various responses of the bereaved family in the mourning process and provide professional help.
Third, it was argued that the role of a faith community should be a community that recovers and practices God’s ‘compassion’ with those who suffer, and that it should also be a community that practices social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not only did related papers rapidly increase and then slowly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no domestic papers that revealed the phenomenon of the mourning process at the point of 7 years have been published y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study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7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t re-examined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suggested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disaster victims.
Third,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ith,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in disaster situations were emphasized,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to reflect on the process so far. Fourth,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in various situations by including interviews with the bereaved families, which were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as still alive and dead at the time of 7 years after the disaster, but it was able to confirm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beliefs and valu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fore,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nge process such as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xplore the effects of disasters on victims through research on siblings, survivors, and survivors' families in addition to bereaved parents, so that various social care can be achie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서 론 01
  •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 B.선행 연구 06
  • C.연구 문제 14
  • D.용어 정의 15
  • Ⅱ.이론적 배경 17
  • A.재난에 대한 이해 17
  • 1.재난의 정의 17
  • 2.재난의 종류 18
  • 3.재난 경험 후 심리적·행동적 반응 19
  • 4.재난 후 시기별 반응 21
  • B.외상에 대한 이해 24
  • 1.외상의 정의 25
  • 2.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이해 29
  • 3.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이해 31
  • C.애도에 대한 이해 33
  • 1.상실의 개념 33
  • 2.애도의 개념 35
  • 3.애도의 반응 38
  • 4.복잡성 애도 40
  • 5.애도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 46
  • 6.성경적 관점에서의 애도 52
  • Ⅲ.연구방법 55
  • A.연구방법 55
  • 1.현상학적 연구방법 56
  • 2.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59
  • 3.연구 참여자 62
  • 4.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71
  • 5.연구과정의 평가 및 윤리적 고려 74
  • Ⅳ.연구결과 77
  • A.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상황적 구조 기술 86
  • 1.영향 요인 86
  • 2.변화 과정 114
  • 3.애도 감정 및 의미 167
  • B.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일반적 구조 기술 183
  • 1.영향 요인 183
  • 2.변화 과정 185
  • 3.애도 감정 및 의미 191
  • Ⅴ.논의 및 결론 195
  • A.요약 195
  • B.논의 및 제언 200
  • 참고문헌 217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29
  • <부록 2> 면담 질문지 230
  • Abstract 231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성경적 상담 자료실의 목적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0 421
.[공지]
성경적 상담 이론정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02 0 776
.[공지]
성경적 상담학 개요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02 0 816
.[공지]
심리 상담 이론정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29 7 2261
774 전통적연구
Ten minutes together with God, Jan David stoop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17 10438
773 심리학적연구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신경안정제와 정신과 약물의 A-Z -항불안제 및 항우울제를 중심으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2 6161
772 전통적연구
메인아이디어, 잠언편, 디모데출판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23 14 5262
771 심리학적연구
NLP란 무엇인가?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4574
770 기관연구
논문 프로포잘 작성방법에 관한 조언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7 9 4516
769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1 4210
768 전통적연구
*매일 행복한 부부 - 10분 묵상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4 13 4117
767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D.Min 과정안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3 4003
766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성경적 상담학 과정안…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3840
765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3650
764 c도덕해석
피스메이커(켄 산데, 202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25 15 3615
763 전통적연구
Proberbs, Holman commentary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13 3496
762 f통찰해석
When People Are Big and God Is Small, 초벌 번역본 / Ed Welch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4 3490
761 [공지]
구글 학술검색: 성경적 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3 11 3477
760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적 상담에 대한 이해 (2004)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3382
759 혁신적연구
The Sufficiency ofScripture to Diagnose and Cure Souls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3369
758 b관점해석
When God weeps, Joni Eareckson Tada & Steven Este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15 3346
757 통합적연구
When You Shouldn’t Do What You Want to Do: Young Children’s …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20 5 3298
756 통합적연구
Exploration of a Biblical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3 0 3167
755 통합적연구
When You Shouldn’t Do What You Want to Do'(하고 싶은 것을 하지 말아야 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29 5 3130
754 혁신적연구
WTS: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성경적 상담학 박사학위논문 목록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3077
753 4조직유형
성경적 상담이란 무엇인가? by 김순성교수(고신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3027
752 통합적연구
한국인의 샤머니즘적 의식구조에 따른 목회상담 연구 1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4 2993
751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977
750 [공지]
국회전자도서관: 성경적 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1 9 2933
749 통합적연구
권두언 : 성격적 상담운동의 확산을 위하여 1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920
748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회복이 배우자 선택의 기준에 미치는 영향 2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30 0 2905
747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877
746 기관연구
SBTS 성경적 상담학(BIBLICAL COUNSELING) D.Min. 프로그램 안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3 2838
745 통합적연구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a forgiveness Intervention p…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2829
744 통합적연구
군장병 자살 예방을 위한 성경적 상담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31 0 2819
743 전통적연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적 상담 원리(전형준)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2817
742 통합적연구
찰스 거킨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한 이혼위기 부부상담의 치료적 적용 - 기독교인 이혼위기 부부상담 사례를 중심으…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30 0 2810
741 f통찰해석
Age of Opportunity 초벌번역본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1 2754
740 통합적연구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성에 관한 성경적 상담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2 0 2737
739 통합적연구
특수교사가 장애 청소년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3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3 0 2735
738 통합적연구
가출청소년아웃리치에 적용한 성경적상담 3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8 0 2718
737 기관연구
상담학 논문 프로포잘 작성법, 강의필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4 2707
736 통합적연구
마음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7 0 2703
735 기관연구
웨스트민스터, 성경적 상담학 종합시험답안, 샤론 사례분석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2 2698
734 기관연구
2003 WTS 성경적 상담학 졸업시험 예상문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2 2690
733 통합적연구
회피성 성격장애 치료를 위한 용기 이해와 기독교 상담에서 용기 구축 방안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12 0 2671
732 d극본해석
상담전도법 논문프로포잘 200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1 2671
731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청소년의 학업성취도가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670
730 심리학적연구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662
729 a적용해석
Parenting A Model for Biblical Counseling / Dr. Welch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2 2662
728 기관연구
성경적 상담학 박사 논문작성시 조언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3 3 2655
727 심리학적연구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치료기법(욕구, 감정, 신체, 환경, 언어자각, 실연, 현실검증, 빈의자기법, 직면, 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2 1 2647
726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을 위한 신경과학의 실천적 함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6 0 2640
725 기관연구
남서울교회 상담실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2623
724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에서의 성령의 사역과 역할에 관한 연구 = The Study for the Significance…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19 0 2623
723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에서의 성경활용= The Use of The Bible in the Biblical Counsel… 2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6 0 2613
722 c도덕해석
단행본, 위기의 십대 기회의 십대(Age of Opportunity) 서문, 1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03 5 2612
721 심리학적연구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le)’ 서문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612
720 통합적연구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1 2606
71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자의 소진(burnout) 극복을 위한 성경적 자가 상담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5 0 2579
718 통합적연구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 일 자유의지와 소명수행의 매개효과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5 0 2536
717 통합적연구
노년기 우울증 치료를 위한 성경적인 상담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31 0 2531
716 기관연구
온누리교회 상담실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2513
715 f통찰해석
단행본,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War of Words)' 1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03 5 2509
714 b관점해석
단행본, '주님이 인도하시는 삶(Step by Step)' 1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03 3 2506
713 통합적연구
성인 우울증 치유와 회복을 위한 성경적 집단상담 연구 = A Study of Biblical Group Co… 3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2 0 2490
712 혁신적연구
서평, '위기의 십대, 기회의 십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14 4 2486
711 혁신적연구
열등감으로 인한 증상과 마음의 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1 0 2484
710 기관연구
한국성경적상담학회(Korean association of Biblical Counseling)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2469
709 통합적연구
특집 : 정정숙 교수의 기독교상담학 이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7 2464
708 통합적연구
어머니의 첫자녀양육 스트레스에대한 질적 연구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463
707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미래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5 2462
706 심리학적연구
찬양사역자 마이클 W 스미스의 '표적(sign)' 1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460
705 통합적연구
수치심 치유를 위한 성경적 상담에 관한 연구 2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7 0 2446
704 통합적연구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2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444
703 통합적연구
다문화사회에서의 성경적 상담 3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9 0 2442
702 통합적연구
가출 청소년 MMPI특성 분석에 대한 성경적 상담학적 접근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9 0 2432
701 기관연구
2003년도 웨스트민스터 성경적상담학 종합시험문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2 2427
700 [공지]
구글 학술검색: "westminster biblical counseling ccef"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4 9 2410
699 통합적연구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8 0 2407
698 통합적연구
청소년 상담: 지금 여기에서 발자취를 돌아보며, 나아갈 길을 다시 묻다.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9 0 2399
697 기관연구
횃불트리니티 상담센터 1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2398
696 통합적연구
중독자가정의 동반의존자에 대한 성경적상담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3 0 2389
695 혁신적연구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07 11 2387
694 혁신적연구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7 0 2380
693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2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8 0 2372
692 통합적연구
중·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성경적 상담 : 청소년을 위한 상담실을 중심으로 1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2 0 2371
691 전통적연구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를 통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 두란노편집 교재 사용 5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5 1 2369
690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과정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359
689 6심층유형
건강한 자존감 형성을 위한 기독교 상담연구 2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0 0 2345
688 f통찰해석
단행본, "영혼을 살리는 말" 2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14 3 2339
687 [공지]
논문분석목록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02 1 2331
686 f통찰해석
When People are big, God is small (당신은 누구를 두려워하는가) 2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14 4 2328
685 혁신적연구
Listening to Prozac . . . and to the Scriptures: A Primer on…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9 2324
684 통합적연구
청년기의 자살생각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접근 -기독대학생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287
683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시리즈 (정태홍)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29 2 2280
68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8 2278
681 전통적연구
God’s Glory is the Goal of Biblical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8 2277
680 통합적연구
기독교 심리학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3 2274
679 b관점해석
Age of Opportunity 소감문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2 2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