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상담방법 1. 사랑하라: 신앙심에 변화가 없는 것 같아 답답하지만 그래도 하나님께 기도의 응답을 구하는 것은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삶을 살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이기에 이를 격려하며 마음으로 들어간다. 2. 이해하라: 언제부터 신앙이 흔들리기 시작했는지와 고치고 싶은 행동은 무엇이 있는지 더 깊이 들어본다. 3. 말하라: 기도의 응답이 없어 절망하게 된 것이 지배의 욕구로 인한 것임을 말해준다. 4. 행하라: 계획의 은혜를 생각하며 지금의 신앙생활을 바라볼 때 즉각적인 응답이 없더라도 인내할 수 있음을 기억하고 그런 삶을 살도록 한다. 5. 확장하라: 내가 원하는 대로 기도의 응답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신앙생활에 대해 더욱 회의감을 갖게 만들어 이제는 기도해도 소용없다는 포기하는 마음으로 나타났다. 6. 통찰하라: 신앙생활이 지치고 하나님이 싫어지는 것은 내 뜻대로 응답이 있어야 한다는 지배의 욕구 때문인데, 이 욕구가 강해져서 이제는 해도 소용없다는 절망의 마음을 갖게 한 것임을 깨닫게 한다.
Ⅴ. 문제유형 3.선악유형 1) 선주도: 기도의 목적을 새롭게 하는 것에서 나아가 교회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작은 섬김부터 해나가면서 은혜의 경험들을 늘려나가고 하나님과 더욱 친밀해진 모습으로 살아간다. 2) 선동참: 절망스럽게 만드는 지배의 욕구를 내려놓고 내 삶을 향해 갖고 계신 하나님의 풍성한 계획을 생각하며 인내하며 나아가기로 결심한다. 3) 중립: 기도의 응답이 없어 절망감을 느끼는 근원적인 이유를 찾아본다. 4) 악동참: 절망감 속에서 하나님과 멀어지고 계속 삐딱하게 행동한다.
Ⅵ. 상담답변 2. 관점적 해석 1) 자신: 님은 응답이 없어서 답답해하는 상태에 집중하기보다, 자신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2) 타인: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내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는 수단으로 하나님을 찾다가 뜻대로 안 되면 하나님을 버리는 일들이 많습니다. 3) 하나님: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가 원하는 삶을 이루어주는 분이 아니라 각자의 삶에 맞는 풍성한 계획을 가지고 계심을 깨달아야 합니다. 4) 사탄: 반대로 사탄은 기도의 목적을 수단화하여 즉각적인 응답이 없으면 자신의 상황을 한탄하며 하나님을 원망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