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상담과정
1.문제인식:고민자는 시아버지의 파묘이후 토지재산권에 대해 남편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힘든 상황인데 이유를 모른채 화만 내다보니 합의는 더욱 어려워지고 갈수록 부부관계는 더욱 악화되게 되었다.
2.원인이해: 남편에 대해 화가 많이 난 것은 재산권에 대해 자신의 편을 들어주기 보다는 시댁의 입장을 대변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이다.
3.방법적용: 하나님이 주시는 충만의 은혜를 바라보니 관계안에서 인정받으려 했던 욕구를 내려놓게 되고 모든 상황에서 기뻐는 마음으로 상대를 대할 수 있게 된다.
4.변화형성: 감사한 마음을 갖기로 결심하니 남편의 장점을 더욱 발견하게 되며 우애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II.단계주제
1. 영역: 가정. 남편과 의견차이로 갈등.
2. 유형: 합의. 재산권에 대한 입장차이가 있음.
3. 감정: 분노. 우유부단하고 시댁의 입장에 서있는 남편에게 화가 남.
4. 욕구: 인정. 나를 편들어줌으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싶음.
5. 소원: 충만. 하나님의 주시는 은혜로 만족함.
6. 결심: 희락. 모든 상황에서 기뻐하는 마음이 생김.
7. 실천: 우애. 남편을 이해하고 다정하게 대할 수 있게 됨.
8. 변화:
III.사례해석
1. 악순환: 고민자는 재산권문제로 남편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힘든 상황인데/관계에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크다보니/자신의 편을 들어주지 않고 시댁의 입장을 대변하는 남편에대해 분노의 감정은 커져가고/갈수록 합의는 더욱 힘든 상황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2. 선순환: 하나님이 주시는 충만의 은혜를 바라보니 어떤 상황에서든 기쁘게 대할 수 있는 마음이 생긴다.
3. 진입구: 주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에 소망이 있음을 말해준다.
4. 상담방향: 남편에 대해 감정조절이 되지 않는 것은 자신의 편을 들어주지 않은데서 생긴 인정의 욕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해준다.
5. 상담계획: 충만의 은헤를 통해 사람에게서 인정받으려 하는 마음을 내려놓고 하나님안에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6. 상담목표: 공평함에 대한 자신만의 잣대로 하나님안에서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남편과의 관계에서 계속적으로 우애를 실천할 수 있도록한다.
IV. 상담방법
1. 사랑함: 다자녀를 키우느라 많이 지쳐있음에도 하나님안에서 관계를 회복하려고 노력해 온 점을 진심으로 격려함.
2. 이해함: 재산권외에 시댁과의 갈등으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다른 상황이 있었는지 좀 더 들어봄.
3. 전달함: 남편에 대해 감정조절이 되지 않는 것은 자신의 편을 들어주지 않은데서 생긴 인정의 욕구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해줌.
4. 행동함: 충만의 은혜를 통해 상황과 상관없이 언제나 기쁘고 감사한 마음을 갖고 대할 수 있도록 함.
5. 확장함: 선순환이 지속되기 위해 희락의 결심이 우애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
6. 통찰함: 공평함에 대한 자신의 잣대와 하나님의 관점은 다를 수 있음을 통찰하도록 함.
V. 문제유형
1.순위유형(필수, 중요, 유익, 선택):
2.합의유형(자신, 타인, 하나님, 사탄):
1) 자신: 나는 그동안 손이많이 가는 힘든 자녀를 키워왔기에 재산권이 우리 가정에 더욱 많이 배분되어야 공평하다고 생각.
2) 타인: 모두가 각자 생각하는 공평함의 기준이 다르기에 법률적으로 나눠갖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
3) 하나님: 서로 화합하기를 바라심.
4) 사탄: 각자의 유익에만 초점을 두게하여 관계를 더우 어렵게 만듬.
3.선악유형(선도, 선참, 중립, 악참, 악도):
4.조직유형(상부, 중부, 하부, 외부):
5.관계유형(중심, 중간, 주변, 초면):
6.심층유형(이해, 사건, 감정, 신체):
VI. 상담답변
1.적용적해석: 자신에게 이미 있는 것을 발견하게 하기위해 사용. 충만의 은혜.
2.관점적해석: 공평함에 대한 이해, 정체성에 대한 이해에 사용.
3.도덕적해석:
4.극본적해석:
5.분석적해석: 많이 사용하는 용어(공평함)에 대해 분석적 접근. 인정의 욕구.
6.통찰적해석: 공평함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