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문제] 직장 내 인간관계와 완벽성향으로 괴로운 직장인/직장문제->용서의 은혜
#직장, #인간관계, #긴장 예민, #완벽 강박, #자책, #우울 1단계 사례분석
I.상담과정
1.문제인식: 직장에서 인간관계에서의 예민함이 자신을 괴롭히는 완벽주의에서 비롯된 문제임을 알게 한다. 2.원인이해: 긴장하고 예민해지며 완벽을 추구하는 이유가 존경의 욕구임을 깨닫도록 한다. 3.방법적용: 자신의 두려움과 존경의 욕구를 이해하고 어떻게 버릴 수 있는지 생각의 연습을 적용해 본다. 4.변화형성: 존경의 욕구 대신에 용서의 은혜를 바라보도록 준비한다.
II.단계주제 1. 영역: 직장-직장에서 괴롭다 2. 유형: 심층-직장 스트레스와 자신의 성향으로 괴롭고 우울하다 3. 감정: 두렴-사람들과의 관계에 예민하고 긴장하며 자신을 갉아먹는 것 같은 생각으로 두렵다 4. 욕구: 존경-완벽하게 일을 잘 해내고 싶다 5. 소원: 용서-하나님이 나를 용서하셨고 받아주셨으며 이 일을 나에게 맡기셨음을 기억하고 따르고자 한다. 6. 결심: 화평-용서를 생각하니 마음이 화평해 진다 7. 실천: 온유-화평한 마음으로 자신과 맡은 일, 동료의 관계에서도 부드러운 마음으로 대하게 된다 8. 변화: 교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주변 지인들과 교제함으로 자신 뿐만아니라 직장동료들과도 평안한 관계성을 형성한다 III.사례해석 1. 악순환: 직장 내 인간관계에서 극도로 긴장하고 예민해서 힘든데 완벽하려하고 자책하는 성격으로 더 괴롭고 우울해지고 있다. 2. 선순환: 직장에서의 일이나 관계에서 자신의 모습을 용서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생각함으로 마음의 화평과 관계에서의 온유함을 이룬다. 3. 진입구: 상황을 대하는 자신의 마음에 대한 이해와 성격의 문제를 파악하고 있는 것이 문제의 열쇠임을 격려하며 마음으로 들어간다. 4. 상담방향: 피상담자의 완벽주의와 강박에 대한 두려움이 존경의 욕구로 인한 것임을 이해하여 이것을 버리고 용서의 은혜를 바라보도록 한다. 5. 상담계획: 하나님의 용서의 은혜를 인식하며 살 때, 마음에서 화평을 누릴 수 있도록 생각을 전환을 돕는다. 6. 상담목표: 화평한 마음을 이루어서 온유한 태도로 자신과 일, 관계를 대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동료와의 교제를 이룰 수 있는 마음으로 준비되도록 돕는다 . IV. 상담방법 1. 사랑하라: 자신이 예민하고 긴장하는 원인이 완벽하려고 하는 강박과 자책하는 성격임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을 격려한다. 2. 이해하라: 직장 내의 인간관계에서 어떤 부분이 가장 긴장되고 예민하게 되는지, 무엇에 대해 왜 완벽하고 싶은지, 그러지 못했을 때의 자책의 정도를 이해한다. 3. 설명하라: 피상담자가 느끼는 우울과 괴로움의 원인이 자신의 성격에 대한 두려움과 존경의 욕구로 인해 생기는 완벽주의 때문임을 설명한다. 4. 실행하라: 잘하고 완벽해야 한다는 존경의 욕구를 버리고 자신에 대해서 자책이 아닌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용서와 부르심을 잘 따르려는 마음가짐을 갖게 한다. 5. 확장하라: 완벽하려는 강박과 자신에 대해 자책하는 마음이 생긴 과거의 어떤 사건이나 배경이 있었는지 이해를 확장한다. 6. 통찰하라: 완벽하고자 하는 강박이 모든 것을 위축시키기에 이것으로부터 자유로워졌을 때 오히려 더 자기 자신이나 일이나 관계를 잘 감당할 수 있음을 알게 한다. V. 문제유형 6.심층유형 이해: 왜 자신이 사람들 눈치를 보고 예민해지는지 모르고 더욱 완벽해져야 한다고 잘못 이해하였다. 사건: 정신적 긴장감이 다 풀리지도 않은 채 출근을 반복하고 있다. 감정: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두려움과 강박과 자책이 자신을 갉아 먹는것 같은 두려움이 든다. 신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안 좋게 보리라는 허상적 사고를 가지고 있으니 괴롭고 우울해진다. #김진희상담사, #3 직장문제, #3 방법적용, #3 도덕적 해석, #44존경-54용서, # 자신과 타인에 대한 용납, #생각의 훈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