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ef] [CCEF] When Life Feels Disconnected from Faith (삶이 믿음과 단절되었다고 느낄 때)



Topics:FAITH, HOPE, SUFFERING

 

Have you ever felt a disconnect between what you believe and what you experience? I was speaking to someone recently who was wrestling with that disconnect. She was in a season of suffering and said something along the lines of, “I am reading the Bible every day. It’s where I’m turning. But when I come across promises of his presence and his peace, it’s so frustrating. That’s not my experience at all—just the opposite. God seems silent. Why don’t his promises touch down in the places I really need them to?” 

My counselee’s experience is a common one. Sometimes it’s referred to as the distance between our head and our heart: we believe the right things about God (head) but we don’t experience them to be true in our personal lives (heart). It might also be described as the difference between our confessional theology and functional theology. We take God at his word but struggle to know how his truths make a difference in life lived. Most Christians feel this way at some point or another; it may be a fleeting struggle or one that stretches out over seasons of our lives. And like my counselee, we often feel frustrated by it. Understandably so.

As I speak to this experience, know that I have in mind Christians who really are taking God at his word, and seeking to work out their salvation with fear and trembling. I say that because that distance could be felt for different reasons—for example, a Christian who doesn’t feel close to God but is entrenched in unrepentant sin. When that person feels distance it makes more sense to us. But what I’m addressing is the times when we are engaged in consistent, faithful rhythms of the Christian life, and are still feeling like God’s promises aren’t landing as we’d hope or expect. How do we think biblically about that experience? Here are four thoughts that can orient us when we feel that distance.  

  • This experience is connected to where we find ourselves in the unfolding story of God’s redemption in the world. In this era, our faith is not yet sight (2 Cor 5:7). We are sojourners, passing through a place that is not our home (1 Peter 2:11). A day is coming when we will see Jesus face to face, and he will change us in an instant (1 John 3:2). It’s easy to imagine that we won’t feel distance in that moment, but that moment hasn’t come. And that fact helps to normalize feelings of distance—as in, “Of course I am not experiencing all of the realities of God’s promises yet. I haven’t seen him yet. I am not home yet. He hasn’t glorified me yet.”
  • This experience is a form of suffering. Just because it’s expected doesn’t mean it’s easy. It is troubling. It is distressing. To not yet enjoy perfect connection is a burden—a rightful reason for us to groan (2 Cor 5:1–5).
  • Though this experience is a burden, it is actually a reason to be encouraged. Why? Because the person who is identifying this experience takes their faith seriously. If they didn’t, they wouldn’t feel the distress of the disconnect.
  • This experience can move us to hope for our promised future. Because it is a good thing to have that connection between what we believe and what we experience, we can expect it in the future. Because disconnect is suffering, we can safely anticipate that we will no longer experience it when we are (finally!) living in the new creation. 

With these orienting comments in mind, let’s next think about how we can minister to someone who feels this way now. How does thinking biblically about this experience guide how we interact with people? The next four points correspond to the ones above.

  • We provide orientation for their experience; this disconnect is expected in this age when faith isn’t yet sight. We reassure them that feeling this way doesn’t indicate a failure on their part. And we exhort them to persevere in faith, as our forefathers in the faith did, even when they didn’t see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s in their lifetime (Heb 11).
  • We sympathize with the suffering in the experience: “This is a hard place to be.” “I understand your frustration.” We empathize with the experience so they don’t feel alone in it: “I can relate… I have felt that way, too. It’s painful.” We groan to God. We tell him just how bad this feels and just how much we don’t want it. And we trust and remember together that Jesus’ ministry was one of alleviating suffering, and that shows us he has compassion on us. We receive his compassion.
  • We encourage their hearts by pointing out that there is something good and right about wanting our heads and hearts to align. They want a good thing, and we admire that about them. 
  • We become practitioners of hope. The experience of hope is a gift of God to us when we suffer. He gave us promises so that we can hope for their fulfillment. He poured out his love for us through the Holy Spirit, and gave us this deposit that guarantees our future (Heb 5:5; Eph 1:4). So we become really good at hoping for what will be ours. We understand that hope is an action and so we practice it. We direct our thoughts to our hope—and dwell there. And as we hope for the day when our heads and hearts align, we wait for it with patience. Patient because we are submitted to God’s timeline for when he ushers in that day. Patient because we take God at his word, and we believe his promises are true. 

And for all of this, we pray. We pray for God to decrease the distance we feel. We pray God will help us wait with patience (Rom 8:25). We pray because he is our hope—and when we hope in him, we will not be disappointed (Rom 5:5).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03 (화) 12:31 2년전
<파파고 번역>

When Life Feels Disconnected from Faith
(삶이 믿음과 단절되었다고 느낄 때)

당신이 믿는 것과 경험하는 것 사이에 괴리를 느낀 적이 있습니까?나는 최근에 그 단절과 씨름하고 있는 누군가와 이야기하고 있었다.그녀는 고통의 계절에 있었고, "나는 매일 성경을 읽고 있다. "나는 매일 성경을 읽고 있다.내가 방향을 돌리는 곳이야.하지만 그의 존재와 평화에 대한 약속을 만나면 너무 답답해.그건 내 경험이 전혀 아니야. 정반대야.신은 침묵하신 것 같다.왜 그의 약속은 내가 정말 필요로 하는 곳에 닿지 않는 거죠?

내 상담자의 경험은 흔한 것이다.때때로 그것은 우리의 머리와 마음 사이의 거리라고 불립니다: 우리는 신에 대한 올바른 것을 믿지만 우리의 사생활에서 그것이 진실이라는 것을 경험하지 못합니다.그것은 또한 우리의 고백신학과 기능신학의 차이점이라고 묘사될 수 있다.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믿지만 하느님의 진실이 어떻게 삶을 변화시키는지 알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이런 식으로 느낀다; 그것은 일시적인 투쟁일 수도 있고 우리 삶의 계절에 걸쳐 연장되는 투쟁일 수도 있다.그리고 제 상담사처럼, 우리는 종종 그것 때문에 좌절감을 느낍니다.그럴 만도 하죠.

내가 이 경험을 말할 때, 하나님의 말씀을 진심으로 믿고 두려움과 떨림으로 그들의 구원을 실천하고자 하는 기독교인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라.그 거리감이 다른 이유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님을 가까이하지 않지만 회개하지 않는 죄에 사로잡혀 있는 기독교인입니다.그 사람이 거리감을 느낄 때 우리에게 더 의미가 있다.하지만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기독교의 삶에 일관되고 충실한 리듬에 빠져있을 때, 그리고 여전히 신의 약속이 우리가 희망하거나 기대했던 것처럼 착륙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입니다.우리는 그 경험에 대해 성경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나요?우리가 그 거리를 느낄 때 방향을 잡을 수 있는 네 가지 생각이 있다.

이 경험은 이 세상에서 펼쳐지는 신의 구원의 이야기 속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이 시대에 우리의 믿음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2 코 5:7)우리는 우리의 집이 아닌 곳을 지나는 체류자들입니다(베드로 2:11).우리가 예수님을 직접 볼 날이 다가오고, 예수님은 우리를 순식간에 바꾸실 것입니다(요한 3:2).그 순간 우리가 거리감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상상하기 쉽지만, 그 순간은 오지 않았다.그리고 그 사실은 거리감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물론 나는 아직 신의 약속의 모든 현실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다.나는 아직 그를 못 봤어요.아직 집에 안 왔어요.그는 아직 나를 미화하지 않았다.
이 경험은 고통의 한 형태이다.기대된다고 해서 쉽지는 않아요.귀찮다.괴롭다.아직 완벽한 접속을 즐길 수 없다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입니다.2 Cor 5:1–5).
비록 이 경험이 부담스럽지만, 사실은 격려를 받아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왜일까?왜냐하면 이 경험을 확인하는 사람은 자신의 신앙을 진지하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단절의 고통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이 경험은 우리의 약속된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우리를 움직일 수 있다.우리가 믿는 것과 경험하는 것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기 때문에 우리는 미래에 그것을 기대할 수 있다.단절은 고통스럽기 때문에, 우리가 새로운 창조물에 살고 있을 때, 우리는 그것을 더 이상 경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안전하게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오리엔테이션의 코멘트를 염두에 두고, 다음에, 이러한 기분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이 경험에 대해 성경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우리가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어떻게 안내합니까?다음 4개의 포인트는 위의 포인트와 일치합니다.

우리는 그들의 경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단절은 믿음이 아직 보이지 않는 이 시대에 예상됩니다.우리는 이런 느낌이 그들의 실패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안심시킵니다.그리고 우리는 그들에게 신앙을 가진 우리의 선조들이 그랬던 것처럼, 심지어 그들이 살아생전에 신의 약속이 이행되는 것을 보지 못했을 때에도, 믿음에서 인내할 것을 권고한다.
우리는 "이곳은 살기 힘든 곳"이라는 경험의 고통에 공감한다."당신의 좌절감을 이해합니다."우리는 그들이 그 속에서 혼자라고 느끼지 않도록 경험을 공감한다: "나는 공감할 수 있다…저도 그렇게 느꼈어요.괴롭다.우리는 신에게 신음한다.우리는 그에게 이것이 얼마나 나쁜 느낌인지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얼마나 원하지 않는지 말한다.우리는 예수님의 사역이 고통을 덜어주는 일 중 하나였다는 것을 함께 믿고 기억합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우리에게 동정심을 가지고 계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우리는 그의 동정심을 받는다.
우리는 우리의 머리와 마음이 일직선이기를 바라는 것에는 좋은 점이 있고 옳은 점이 있다는 것을 지적함으로써 그들의 마음을 격려한다.그들은 좋은 것을 원하고 우리는 그들을 존경한다.
우리는 희망의 실천자가 된다.희망의 경험은 우리가 고통받을 때 우리에게 주신 신의 선물이다.그는 우리가 그들의 성취를 바랄 수 있도록 약속을 해주었다.그는 성령을 통해 우리에게 사랑을 베풀어 주시고, 우리의 미래를 보장하는 이 예금을 주셨습니다(헵 5장 5절, 엡 1장 4).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것을 정말 잘하게 된다.우리는 희망이 행동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실천한다.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우리의 희망으로 향하게 하고, 거기에 머무른다.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머리와 마음이 일직선이 되는 날을 희망하면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린다.인내심을 가져라. 왜냐하면 우리는 신의 연대표에 복종되어 있기 때문이다.인내심을 가져라 신의 말씀을 믿고 신의 약속이 진실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위해 기도합니다우리는 신이 우리가 느끼는 거리를 줄여주기를 기도한다.우리는 하나님이 인내심을 가지고 우리를 기다려 주시기를 기도합니다(롬 8:25).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그가 우리의 희망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우리가 그를 바랄 때 우리는 실망하지 않을 것입니다(롬 5:5).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성경적 상담 자료실의 목적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0 646
.[공지]
성경적 상담 이론정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02 0 1025
.[공지]
성경적 상담학 개요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02 0 1094
.[공지]
심리 상담 이론정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29 7 2488
931 심리학적연구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존 그레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07 0 607
930 혁신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길잡이 | 하나님의 말씀을 기초로 한 성경적 상담 과정의 실제 4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2435
929 기관연구
How can I encourage my child to care more about others?, CC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21 0 1057
928 기관연구
Therapon University, Biblical Counseling Course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21 0 1186
927 기관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하반기 주요 행사 일정 안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08 0 1324
926 ccef
WTS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소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06 0 525
925 심리학적연구
영혼 돌봄의 상담학 (서론)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9 0 1531
924 a적용해석
5가지 사랑의 언어(게리 채프먼 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2 0 1313
923 [공지]
구글 검색: 성경적 상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177
922 신학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177
921 2합의유형
심리학은 성경적 상담과 어떻게 함께 일할 수 있는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133
920 e분석해석
성경적 상담의 핵심개념 |히스 램버트, 김준 역, 국제제자훈련원 2015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100
919 e분석해석
「성경적 상담사전」을 펴낸 운정 정정숙 박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145
918 c도덕해석
성경적 상담 매뉴얼 | 저자 : 척 스미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53
917 d극본해석
성경적 상담 - 우리들의 이야기 - 행복한 박목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045
916 혁신적연구
황규명박사 "성경적 자가상담" 1강 캐나다 총신대 신학대학원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72
915 a적용해석
웨스트민스터 | 성경적 상담 |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_한국어 공식 채널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88
914 a적용해석
[강의 맛보기] 성경적 상담 - 김준수 교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44
913 혁신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 - 예스24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67
912 a적용해석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9 0 1262
911 기관연구
총신대 평생교육원 성경적 상담 자기대면 과정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14 0 1391
910 5관계유형
Biblical_counseling_in_the_twentieth_century(David Powlison)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03 0 1267
909 [공지]
논문분석목록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02 1 2760
908 e분석해석
[논문] 우울증과 자존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치유 연구 : 총신대학교 대학 및 대학원생들을 중심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30 0 1445
907 6심층유형
[논문] 애착관계 결핍으로 인한 청년기 우울증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30 0 1462
906 b관점해석
[논문] 조현병 환자의 자기중심적 사고에 대한 성경적 접근 : Piaget의 자기중심성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30 0 1470
905 c도덕해석
[논문] 청중의 효과적인 설교적용을 위한 설교적용나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월드행복비전교회를 중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4 0 1256
904 a적용해석
[논문] 어린이 제자화를 위한 성경적 부모역할 = Biblical Parenting for Children'…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4 0 1506
903 6심층유형
[논문]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4 0 1464
902 6심층유형
[논문] 미자립교회 목회자의 가족 갈등에 대한 젠더연구 : ‘성경적 가족’ 이데올로기의 문제화를 중심으로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5 0 2425
901 신학적연구
[논문] 동성애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의 비판과 교회의 올바른 대응 방안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5 0 1591
900 6심층유형
[논문] 한국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탐색을 통한 척도개발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5 0 1679
899 e분석해석
[논문]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9 0 1158
898 a적용해석
[논문] 성경적 상담자의 소진(burnout) 극복을 위한 성경적 자가 상담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9 0 1375
897 6심층유형
[논문] 피학대 아동을 위한 성경적 상담 : 성경적 레질리언스를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9 0 1335
896 6심층유형
[논문] 자녀의 시험불안 해결을 위한 성경적 부모 상담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2 0 1391
895 e분석해석
[논문] 가족치료 기법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mily Th…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2 0 1157
894 c도덕해석
[논문] 동성애에 대한 교육과 치료방안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2 0 1253
893 a적용해석
[논문] 국문: 전인적 상담의 성경 사례연구 : - Paul D. Tripp의 성경적 상담모델에 따른 요4:…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7 0 1337
892 6심층유형
[논문] 자살심리 개선을 위한 재구조화에 기초한 목회상담 방법론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7 0 1360
891 e분석해석
[논문]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7 0 1081
890 6심층유형
[논문] 알코올중독자 아버지를 위한 성경적 이야기치유의 접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8 0 1079
889 c도덕해석
[논문]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8 0 1134
888 신학적연구
[논문] 자기 형성과 트라우마, 은혜의 치료적 기능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8 0 1233
887 c도덕해석
[논문] 공황장애 기독교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0 1159
886 e분석해석
[논문] 기독교상담적 삼중관계상호작용모델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0 964
885 6심층유형
[논문] 자녀 양육 스트레스, 부부 갈등 해결전략이 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하나님 이미지 매개 효과를 …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0 1120
884 a적용해석
[논문] 자가상담이 영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2 0 1221
883 신학적연구
[논문] 개혁주의 성경적 상담의 목회적 적용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2 0 1300
882 f통찰해석
[논문] 감정기능의 이해와 회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제안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2 0 1231
881 c도덕해석
[논문] 위기집단상담 사례연구 - 서울의 A고등학교의 자살사후 개입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2 0 1203
880 6심층유형
[논문]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통합적 치유접근 연구 - 기독교 상담과의 연관성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2 0 1269
879 a적용해석
[논문] 성경적 위기 목회상담의 이해와 적용: 욥기서를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3 0 1215
878 b관점해석
[논문] 로저스의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the fully functioning person)’에 대한 성경…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3 0 1077
877 c도덕해석
[논문]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3 0 1167
876 b관점해석
[논문]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가치'와 ‘의미’에 대한 연구의 기독교상담적 함의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3 0 1153
875 6심층유형
[논문]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23 0 1155
874 b관점해석
[논문] 건강한 심리를 이끄는 내면화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과 목회상담학적 관점의 비교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1127
873 신학적연구
[논문]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1056
872 신학적연구
[논문] 기독교대학 채플의 다양성에 접근하는 한 시도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1097
871 6심층유형
[논문] 기독교 용서상담에서 피해자의 분노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1259
870 f통찰해석
[논문] 언택트 시대의 관계단절과 Harry Emerson Fosdick의 상담학적 설교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1192
869 신학적연구
[논문] 신천지 이탈 청년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1138
868 신학적연구
[논문] 행복과 건강문화에 대한 개혁주의 상담학적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1112
867 6심층유형
[논문] 성인 아이의 동반의존 경험에 관한 단일 사례연구: 기독교 상담 관계 중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1092
866 a적용해석
[논문] 찰스 거킨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한 이혼위기 부부상담의 치료적 적용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1375
865 f통찰해석
[논문] 교회 상담에서의 정신장애를 위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1098
864 e분석해석
[논문] 현대 고통 담론에 대한 성경적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1085
863 3선악유형
[논문] 동성애와 차별금지법에 대응하는 설교 방안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1151
862 b관점해석
[논문] 온라인 교회의 합당성에 관한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1050
861 b관점해석
[논문] 현대사회 변화에 따른 성경적 상담의 방법:성경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1104
860 a적용해석
[논문] 기독교 중·노년기 재혼부부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1201
859 ccef
[CCEF] Counseling and Physiology Class: Post 2 Asperger’s Sy… 1 이수미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9 0 1215
858 f통찰해석
[논문] Lewin의 “행동방정식”과 생각 모델(model)에 대한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1082
857 6심층유형
[논문] 커플 관계에서의 질투망상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1320
856 3선악유형
[논문] 내담자가 지각한 성경적상담의 효과 요인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1248
855 신학적연구
[논문] 기독교 상담사례집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1210
854 c도덕해석
[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회복을 위한 12단계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연구: 기독 청소년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1198
853 [공지]
성경적 상담 문헌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0 1227
852 [공지]
문제이해(6가지 유형)와 해결방법(6가지 해석)으로 분류합니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2 1165
851 심리학적연구
상담연구방법론 (학지사, 2019)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1242
850 심리학적연구
상담연구방법론(학지사, 202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1183
ccef
[CCEF] When Life Feels Disconnected from Faith (삶이 믿음과 단절되었다…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3 1 1287
848 ccef
[CCEF] Winning Your Child’s Heart with Winsome Words (애교 있는 …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3 0 1236
847 ccef
[CCEF] What Has Been Most Helpful in Your Marriage? (결혼 생활에 …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3 0 1235
846 a적용해석
성경적심리치유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2 0 1144
845 b관점해석
당신의 상담을 돌아보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2 1 1528
844 심리학적연구
심리학 도서 목록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5 0 1341
843 a적용해석
매일 행복한 부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13 1 1408
842 ccef
Six Basic Struggles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1 12 1878
841 b관점해석
Help and change follow a path but not a script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0 2552
840 심리학적연구
Help and change follow a path but not a script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0 2802
839 혁신적연구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7 0 2792
838 f통찰해석
작은 결정도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을 위한 분별력 (Small Decisions Matter: Discer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6 1 2247
837 심리학적연구
작은 결정도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을 위한 분별력 (Small Decisions Matter: Discer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6 1 2750
836 통합적연구
가출청소년아웃리치에 적용한 성경적상담 3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8 0 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