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상담에서 최근의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에드워드 웰치(Edward T. Welch.)의 성경적 변화모델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표적 성경적 상담의 이론가들인 제이 아담스(Jay E.Adams), 래리 크랩(Larry Crabb) 그리고 데이빗 포울리슨(David A. Powlison)의변화모델에 나타난 인간이해, 병리, 구체적인 변화방법들을 분석한 후, 이를바탕으로 웰치가 강조하고 있는 상담관계, 성경적 신학에 기초한 상담문제의이해,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상담영역의 확대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아담스는 인간의 죄를 모든 상담문제의 원인으로 보고 죄악된 삶의 습관을 성경에부합되는 습관으로 바꾸는 재습관화를 강조하였다. 아담스의 행동의 성경적변화가 인간의 깊은 동기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다고 믿은 크랩은 인간관계에서 경험되는 필요들을 상담문제의 핵심으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성경적 사고와 신념의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포울리슨은 크랩의이론이 심리학적 동기 이론에 영향을 받았음을 지적하며 인간의 마음의 변화를 강조한 성경적 동기이론을 주장하였다. 웰치는 성경적 변화모델에서 포울리슨과 같은 관점을 공유하면서 이를 더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그는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계를 강조하며 내담자와 상담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했다. 깊은 상담관계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면세계와 이야기 속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상담문제들을 성경적으로 이해하고 상담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구약과 신약을 통합하는 관점을 제공해주는 성경신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고, 이는 복잡한 상담문제에 연관된 성경 구절의 적용과같은 단조롭고 피상적인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웰치는 복잡한 상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담실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상담뿐만 아니라 신자들이 속한 교회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돌봄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를 위해 교회내의 평신도들과 가족들을 격려하며 돌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해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웰치의 성경적 변화모델을 기반으로 상담에서 성경적 변화를 추구하는 이들의 구체적인 상담기술과 방법들을 다룬 교재의 제작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Edward T. Welch on the development of biblical change model in Christian counseling. To do this, the article first analyzes the biblical counseling models of major theorists such as Jay Adams, Larry Crabb, and David Powlison. and then investigate what Welch contributed: emphasis on counseling relationship, the importance of bibl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counseling issues, and caring ministries in local congregations. Adams claimed that the goal of biblical change should focus on changing sinful habits into more biblical habits.
However, Larry Crabb found that Adams' model lacked motivation theory and emphasized fulfilling the relational needs to bring changes in counselees. Yet, David Powlison criticized Crabb's model was heavi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theories, and claimed that human heart must be changed to solve counseling problems. Edward Welch shares same principles with Powlison in focusing on human heart but further advanced the principles toward the direction of counseling relationship, biblical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church's caring ministries, For Welch, counsel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ounselees are important because through the deep relationship, counselor can enter and understand inner world of counselees' lives. Though biblical change is based on the use of the Bible in counseling, however, appropri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are crucial for effective biblical change, which is possibl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ounseling problems. Welch believes that biblical counseling understanding would prevent shallow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Bible on counseling problems. Welch also claims that not only structured counseling sessions but also caring ministry of local churches are crucial to bring biblical changes to the Christian counselees. As a conclusion, the article suggests the need of developing concrete technique and methods to bring concrete biblical changes based on Welch's contributions.
키워드
,
,
,
,
Christian counseling, cognitive therapy, Biblical counseling, meaning of heart, Biblical cognitive process
참고문헌(29) * 2019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7건입니다.